인사이트

인사이트

인사이트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2025년 11월 24일

2025년 11월 24일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최근 몇 년간 기업들은 [AI 시대의 핵심은 GPU] 라는 메시지를 당연하게 받아들여 왔어요.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 이후, 더 큰 모델, 더 빠른 연산, 더 높은 처리량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고성능 GPU 확보 경쟁은 마치 필수 전략처럼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지금, 시장 분위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요. AI 도입 기업들이 실제 성과를 되돌아보며 "우리가 정말 이 정도 스펙이 필요했나?"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 것이죠. AI 인프라의 중심에 서 있던 GPU가 과연 언제나 필요한 선택인지, 그리고 기업이 어떤 기준으로 하드웨어를 선택해야 하는지, 이 글에서 새로운 관점으로 짚어보려고 합니다.



1️⃣ GPU 중심 사고방식, 정말 타당했을까?

AI 도입 초기에는 [고성능 GPU = AI 성공] 이라는 공식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실제 기업의 AI 워크로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황은 다릅니다.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대부분의 기업 AI는 학습(Training)이 아니라 추론(Inference)에 집중합니다. 이메일 자동 분류, 구매 추천, 고객 문의 챗봇, 매출 예측, 이상 탐지 등 일반적인 기업 AI는 생성형 모델을 새로 학습시키는 작업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모델을 추론하고 실행하는 작업이에요.

이 추론 단계에서는 GPU가 무조건적인 필수 장비가 아닙니다. 최근에는 CPU만으로도 충분한 처리 성능을 내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Meta가 2024년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Llama 시리즈 모델의 경량화와 최적화 기술을 통해 4~7배 저가의 CPU 서버에서도 추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어요.
*출처 : Introducing quantized Llama models with increased speed and a reduced memory footprint



2️⃣ GPU 가격 폭락의 이면: '수요 변화'와 '비용 효율성'

최근 주요 클라우드 기업들이 제공하는 고성능 GPU(H100, A100 등)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어요. 표면적으로는 기업에게 좋은 소식처럼 보이지만, 중요한 것은 가격 하락의 근본적인 이유입니다.

GPU 가격 인하는 단순히 공급 확대나 경쟁 심화 때문만은 아닙니다. 기업들이 실제 워크로드에 맞춰 과도한 스펙을 줄이기 시작한 수요 측 변화가 겹치면서 나타난 현상에 가깝습니다. 기업들이 실제 AI 워크로드를 검토해보니, 고가의 GPU가 없어도 충분하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죠.

2-1) 추론 중심 AI는 경량 모델 최적화로 충분해요
Pruning, Quantization, Distillation 등 모델 최적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AI 모델은 계속 가벼워지고 있습니다. 덕분에 기업 규모에서는 GPU 하나로 수십만 건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CPU 기반에서도 효율적인 추론이 가능해졌습니다.

2-2) ROI 중심의 AI 전략이 부상하고 있어요
불필요한 비용 증가 속에서 기업들은 필요 이상의 스펙을 더 이상 유지하지 않습니다. GPU 수요는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고 있으며, 투자 대비 효과(ROI)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AI 인프라 전략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3️⃣ 기업용 AI, GPU보다 중요한 것은 맞는 구성

GPU를 쓴다고 AI가 무조건 좋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진짜 필요한 작업에 가장 적절한 하드웨어를 적용하는 것이 훨씬 중요해요.

기업 유형

주요 AI 워크로드

하드웨어 선택의 기준

최적화 사례

중형 커머스 기업

추천 엔진, 재고 예측

워크로드 대부분이 CPU 서버 + 경량 모델로 충분한 성능 발휘

GPU 전용 인스턴스는 오히려 비용 대비 효율이 낮았음

글로벌 제조 기업

고도화된 시물레이션(10%) / 데이터 분석 예측(90%)

고도화된 시뮬레이션에만 GPU 사용, 나머지 90%는 CPU 기반이 경제적

CPU 기반 인프라가 전체 비용 효율성을 높임

SaaS 스타트업

챗봇, 사용자 분석 기능

GPU 없이도 CPU 기반 최적화만으로 월 수십만 명의 사용자 처리

최적화된 CPU 인프라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4️⃣ FOMO에서 벗어나야 진짜 AI 전략이 보인다

최근 2년간의 GPU 쟁탈전은 기술적 필요성보다 놓치면 뒤처질 것 같은 두려움(FOMO)이 강하게 작용한 시장이었습니다. 실제 워크로드 분석 없이 고가 장비를 도입하거나, 필요 없는 GPU를 예약 구매해 비용만 소모하는 경우가 흔했어요.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여러 리포트에 따르면, GPU 자원의 20~30% 이상이 상시 유휴 상태인 경우도 흔하며, 적절한 최적화를 통해 AI 인프라 비용을 30~50%까지 줄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런 흐름이 계속되다 보니, AI 예산의 상당 부분이 과투자 구간으로 흘러갔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출처 : GPU Cost Optimization for AI Workloads: Smarter Scaling for Training & Inference

AI 기술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면서 무조건 최신 GPU라는 공식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요.



5️⃣ 클라우드 기업도 공급 전략을 재정비 중

GPU에 대한 수요가 변화하자, 클라우드 기업들도 재고와 공급 전략을 다시 조정하고 있습니다.

  • H100/H200 등 초고급 GPU: 여전히 대규모 학습에는 부족

  • A100/L40 같은 기존 GPU: 유휴 자원 증가

  • CPU 기반 AI 인스턴스: 빠른 성장세

특히 CPU 기반 AI 솔루션 (예: AWS Graviton, Intel Xeon, AMD EPYC 기반 AI 최적화)이 기업들의 관심을 크게 받고 있어요. 기업들이 GPU 없이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경험을 점점 더 많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6️⃣ 중요한 것은 GPU가 아니라 AI 활용 전략

최신형 GPU는 대규모 모델 학습에 여전히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이 필요로 하는 것은 대규모 학습이 아니라 AI 적용 및 운영입니다.
즉, GPU는 특정 케이스의 선택지이고, CPU는 대다수 기업의 현실적 선택지가 됩니다. 비용 절감과 성능 유지를 동시에 생각한다면, CPU 기반 AI 인프라 최적화가 가장 현명한 방안입니다.

기업이 AI 인프라를 설계할 때 중요한 기준은 단 하나입니다.
"우리 회사의 실제 워크로드는 무엇이며, 그 작업에 어떤 하드웨어가 가장 경제적인가?"

기업 인공지능의 본질은 비싼 장비를 사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로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지금이야말로 GPU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업무에 맞는 똑똑한 AI 인프라 전략을 구축해야 할 때입니다.

최고급 고성능 GPU만이 정답일까? AI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

비용 절감부터 차별화된 속도와 안정적 운영까지
기업에 최적화된 IT 환경을 지원합니다

비용 절감부터 차별화된 속도와
안정적 운영까지 기업에 최적화된 IT 환경을 지원합니다

비용 절감부터
차별화된 속도와 안정적 운영까지
기업에 최적화된 IT 환경을 지원합니다

(주)스피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서일로 18, 1101호 (위례 더존메디컬타워)

TEL 031-697-8413

FAX 02-6455-4743

sales@speedykorea.com

© SPEEDY. All rights reserved